신경치료한 치아 같은 경우에는 거의 기본적으로 크라운이 씌어져 있는 상태라서 이 부분은 크라운의 수명이라고도 표현하여 말씀드려야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해서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 무엇인지도 안내드리며 오늘의 포스팅을 정보공유드립니다.
신경치료한 치아 상태에서 크라운을 하게 된 치아의 수명은 대략 10년 이상 정도입니다. 근데 이 10년 이상 정도가 충치가 아예 안 생긴 상태의 10년이 아니라, 이미 크라운 안에 충치가 서식하고 있고 영구치를 갉아먹은 전제하에 10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즉, 접착제 힘으로 오랫동안 유지하며 사용하고 있다고 보시면 되시는데요. 원래의 원리대로라면 충치가 생기면 통증이 생기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신경치료한 치아 같은 경우에는 통증이 생기지 않습니다.
크라운 안에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충치가 생기는지 등등 아무 진행과정을 모르는 상태에 있다가, 나중에 갑자기 크라운이 탈락하게 되면 그제야 충치임을 깨닫고 임플란트를 하게 됩니다.
영구치가 어느 정도 남아야 크라운을 재시술하는데, 그러한 영구치가 없으니 답은 임플란트 밖에 없지요. 그래서 신경치료를 하게 되면 이러한 부분이 단점이라고 미리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신경치료를 안 하게 되는 경우에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크라운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치아 밑면 부분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 틈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 염증이 생기게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충치가 발생되어 크라운 안쪽면을 갉아먹게 되는 경우에는 통증이 나타나 크라운을 제거하고 다시 재시술하는 경우로 대처하곤 합니다.
필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신경치료를 하나 안 하나 가장 좋은 것은 임플란트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식립 하면 관리만 잘해주면 평생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보이기도 하고,
어차피 레진과 크라운의 최종 종착지는 임플란트인지라, 현재 신경치료를 해야 되는 분들은 신경치료를 하신 다음에 임플란트 전문적으로 하는 치과에 방문하셔서 임플란트로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향이 아닐까 싶네요.
아무튼 오늘은 간단하게 신경치료한 치아에 대한 정보를 공유드렸으며, 부디 조금이라도 좋은 치과 치료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