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 생기는 시간은 구강이 건조한 상태인지 아니면 구강이 건조하지 않는 상태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 구강이 건조하다는 전제하에 충치가 생기는 시간은 대략 한두 달이면 충치가 진행되어 뿌리 부근으로 달리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보통 분기에 한번 정도는 통증이 없으시더라도 치과에 가셔서 정기검진을 받으셔야 하는 이유가 이러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구강 건조를 예방하는 방법은 음주 및 흡연 그리고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 가글을 자주 하는 습관 등등 전반적으로 구강 자체를 건조하게 하는 행동 모두를 지양하시면 됩니다.
이 방법만 잘해주시면서 치간칫솔과 치실만 잘 사용만 해주신다면야 뿌리 부근 충치가 아니시면 굳이 치료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냥 방치를 하셔도 되는 것이지요. 대신 분기에 한번 정도는 치과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과 전문의 입장에서는 빨리 레진 해야 한다. 크라운해야 한다. 이렇게 권유하실 텐데요. 솔직히 말해서 레진과 크라운 자체가 충치를 악화시키는데 오히려 도움을 주는 역할로 변질되게 됩니다.
처음에야 충치가 생기지 않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크라운과 잇몸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고 그 틈으로 음식물이 쌓이면서 치석을 만들어내지요.
결국 크라운 안에 충치가 진행되어 안에 있는 영구치 전부 갉아먹고 옆치아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레진 및 크라운 한 치아는 옆치아가 충치에 걸리지 않도록 사전에 잘 관리를 해주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냥 방치하시거나, 그게 아니면 그냥 발치를 해버리고 임플란트를 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어차피 충치가 한번 생기면 최종 목적지는 임플란트입니다.
미리 하나 늦게 하나둘 중에 미리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사실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점점 임플란트 기간을 늦출수록 잇몸뼈는 약해져만 가고, 나중에 임플란트가 필요해서 하려고 하면 잇몸뼈 약화로 틀니로 대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엄청 복잡하고 일상생활이 고되겠지요. 그러하오니 오늘 정보를 잘 참고하시어 현재 자신에게 맞는 방향을 찾아 치아 관리 잘하시길 바라겠습니다.